경계에 흐르다-거칠고 과감하게
2002년 월드컵 준비 당시 히딩크 감독은 새롭고 독톡한 전략이 아닌 선수들의 체력에서 키우는 것에 가장 큰 중점을 뒀다.
이는 축구에만 해당되는 일이 아니라 근본을 장악하면 나머지 것들은 다 그 안에서 통제되고 빛난다.
나라의 근본 체력은 '국방력'이다. 과학 기술, 국가관, 문화 수준, 나라의 비전, 정치력 등이 모두 국방력으로 귀결歸結된다.
나라의 체력을 뒷받침하는 또 다른 기국은 '조세 제도'이다. 국민의 의식 수준, 공정함, 행정 집행 능력 등이 모두 조세 제도의 운영으로 모여든다.
제대로 된 나라는 국방과 조세 제도가 튼튼하며 제대로 작동되는 건강함을 보인다. 이때 국가는 거칠고 강력하며 과감한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히딩크 축구가 보여준 축구는 거칠며 과감하게 판을 주도했다. 이는 강한 체력으로 가능했던 일이었다.
이와 달리 전술적 차원의 국가는 거칠고 과감함보다는 짜 놓은 판에서 안주하려는 성향이 농후하며 일이 터지고 나서야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한다.
그리고 일이 발생하며 대증요법(對症療法: 어떤 질환의 환자를 치료하는 데 있어서 원인이 아니고, 증세에 대해서만 실시하는 치료법)으로 상황을 마무리 지으려는 경향이 강하다.
고대 중국의 '관자管子'라는 철학책에서 나라가 망해가는 9가지 현상을 적시했는데 국방과 평화주의 난무가 맨 앞에 언급된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국방을 게을리하는 일, 맹목적인 평화주의 난무亂舞는 나라가 망해 가는 현상 중에 나타난다
-철학책 관자管子 중에서-

*관포지교管鮑之交에 등장하는 관중管仲과 포숙鮑叔중에 관중이 바로 관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