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메타버스-Part1 인류는 디지털 지구로 이주한다 - 말하기를 다시 배워야하는 세상

judy663 2021. 10. 5. 07:30

# 말하기를 다시 배워야하는 세상

잡코리아 2019년 조사에 따르면 성인 중 절반 정도가 콜포비아를 느낀다고 한다.

'
콜포비아call phobia'란 전화로 음성통화를 할 때 느끼는 두려움을 의미한다.

출처 연합뉴스

여기에서 두려움과 선호도 두 가지 요소를 고려해 봐야 한다.

우선 두려움은 듣고 바로 말해야 하는 상황에서 본인의 실수 경험이나 실수에 대한 두려움이다. 반대로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지 못해 생기는 문제이다.

선호도는 음성통화 이외의 소통 방법인 문자, 메신저, 이모티콘, 음식 주문 앱, 채팅 등 더 간편하고 효율적인 방법의 존재이다.

말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더 편리한 방법의 등장은 통화를 꺼리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와 달리 베이비부머baby boomer 세대는 음성 통화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같은 시대에 사는 우리는 메타버스에서 다른 소통 방법을 선호하고 있는 것이다.

메타버스의 소통은 크게 네 가지 측면으로 나뉜다.

1. 누가 말하고, 누가 듣는가
1:N 소통-한 명의 화자, 나머지는 청중
N의 소통-나의 개시물, 의견을 남기는 이들
n의 소통-회식 자리 자연스러운 분화 대화 형식
1:1 소통-단둘이 얘기하는 경우

2. 실명과 익명
가상 공간에서 익명의 사용은 확연히 높으며 그때 따른 역효과도 빈번하다.

3. 실시간과 비실시간
아날로그 지구의 소통은 실시간이 기본이지만 메타버스에서 실시간 소통 비율은 낮은 편이다.

4. 메시지 소통 방법
통화 이외 문자, 메신저, 이모티콘, 채팅 등
'축하한다, 힘내라'는 말대신 사용하는 이모티콘은 소통의 다른 방법이다.

카카오톡 BTS 이모티콘, 출처 개인 소장

※우리나라 베이비부머
한국 전쟁이 끝난 1955년부터 베트남 전쟁 참전 전까지인 1963년 사이의 태어난 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