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백년 가르침을 주는 황금률 8

인생 백년 가르침을 주는 황금률-항상 배우고 익히는데 힘쓰면 늙지 않는다

# 항상 배우고 익히는데 힘쓰면 늙지 않는다 不學便老而衰 불학편로이쇠 근사록 노이쇠(老而衰)는 노화이다. 늙는 것을 생리학적으로 보면 복잡한 논의도 있겠지만, 노쇠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배움을 들 수 있다. '배움'이란 반드시 책을 읽고 학문을 배우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무언가를 몸에 익히고 자신을 향상하고자 하는 의욕이 중요하다. 항상 무언가 새로운 것을 익히고자하는 생각과 노력하는 마음가짐은 우리의 삶을 젊고 건강하게 한다. 인생을 가장 건강하고 젊게 사는 방법 중 하나는 배움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새로움을 추구하는 도전정신 을 잃지 않는 것이다. 📚근사록 近思錄 중국 송나라 때 주자와 그 제자인 여조겸이 함께 편찬한 책으로 주자학의 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인생 백년 가르침을 주는 황금률-정치를 잘 하는 사람은 보화를 창고에 쌓아 두지 않고 백성에게 쌓아 둔다

# 정치를 잘하는 사람은 보화를 창고에 쌓아 두지 않고 백성에게 쌓아 둔다 聖人之治藏於民不於府庫 성인지치장어민불어부고 정치를 잘하는 사람은 보화를 창고에 쌓아 두지 않고 백성에게 쌓아 둔다 -한비자- 코끼리의 조상으로 일컬어지는 매머드는 자신의 어금니 무게를 견뎌내지 못해 자멸했다고 한다. 성인의 정치란 국민의 생활을 우선적으로 꾀하며 국민의 지지를 받는 것을 최상으로 삼는다. '보화를 창고에 저장하지 않고 백성에게 저장한다'는 말은 국민의 생활을 우선적으로 꾀하며 국민의 지지를 받는 것을 최상으로 삼는다는 의미이다. 이는 기업경영에서도 적용되는데 오직 이익만을 추구하는 회사는 오래 번영하지 못한다. 하지만 벌어들인 이익의 일정 부분을 직원과 국가에 환원하는 선순환 구조를 갖춘 회사는 분명 다를 것이다...

인생 백년 가르침을 주는 황금률-배운 연후에 부족함을 알고 가르쳐 본 연후에 어려움을 안다

# 배운 연후에 부족함을 알고 가르쳐 본 연후에 어려움을 안다 學然後知不足 학연후지부족 敎然後知困 교연후지곤 -예기禮記- 우리는 배움을 통해 자신의 부족함을 알게 되며 가르친 후에 그 어려움을 알게 된다. 부족함을 안다知不足 어려움을 안다는知困 학學과 교敎를 통해 자신의 부족함과 미숙함을 깨닫고 자기 자신을 향상시키는 동기로 삼자. 📚 예기禮記 중국 고대 유가의 경전으로 오경 중의 하나이다. 예경禮經이라 부르지 않는 이유는 예기禮記란 삼대(하, 은, 주)의 예법에 대한 기록 혹은 그에 대한 주석이기 때문이다.

인생 백년 가르침을 주는 황금률-인생의 가장 큰 병폐는 오직 한 글자 '오傲' 자이다.

# 인생의 가장 큰 병폐는 오직 한 글자 '오傲' 자이다. 人生大病只是一傲字 인생대병지시일오자 -전습록傳習錄- 📚전습록 중국 명대 중기 사상가 왕양명(1472~1528)의 어록(上下卷)과 서간집(中卷). '오傲'는 자신의 능력이나 재능을 자랑하며 남을 내려다보는 것인데 겸허謙虛의 반대이다. 왕양명이 지은 전습록에서 인생의 가장 큰 병은 이 '오傲'라고 언급한다. 자식으로 오만하면 불효하고 신하로서 오만하면 불충하며 부모로서 오만하면 무자비하며 벗으로서 오만하면 불신이 된다. 즉, 오傲에는 한 가지의 좋은 점도 지니지 못한 악惡의 근원이라는 것이다. 오에 빠지지 않으려면 겸謙을 늘 염두念頭에 두어야 할 것이다.

인생 백년 가르침을 주는 황금률-세상 일을 조금이라도 줄이면 그 만큼 속세에서 벗어날 수 있다

# 세상 일을 조금이라도 줄이면 그만큼 속세에서 벗어날 수 있다 人生減省一分 인생감성일분 便超脫一分 편초탈일분 채근담 교제를 줄이면 불필요한 분쟁이 줄어들 것이다. 말을 줄이면 비난받을 일이 적어질 것이다. 생각을 덜면 마음의 피로가 감소할 것이다. 하루하루 줄이지 않고 늘려나가는 사람은 진정으로 삶을 힘들게 할 뿐이다. 모든 일을 줄인다는 것은 분명 쉽지 않다. 그렇지만 한 번은 생각해 봐야 하는 지점이다.

인생 백년 가르침을 주는 황금률-사람은 흐르는 물을 거울로 삼지 않고 멈춰 있는 물을 거울로 삼는다

# 사람은 흐르는 물을 거울로 삼지 않고 멈춰 있는 물을 거울로 삼는다 人莫鑑於流水 인막감어유수 而鑑於止水 이감어지수 -장자 - 흐르는 물은 언제나 흔들리고 있기에 사람의 모습을 비춰 줄 수 없지만 정지되어 있는 물은 늘 맑기에 그대로 사람의 모습을 투영한다. 조용하고 맑은 심경을 가지고 있다면 언제 어떤 사태에 처하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명경지수明鏡止水'나 '무심지경無心境地' 이는 잡념이나 욕망에 발목을 잡히는 일, 기성 관념에 사로잡혀 유연함을 잃어버리는 일 등을 줄이는 하나의 방법이다.

인생 백년 가르침을 주는 황금률-위험하다고 느꼈을 때에 멈출 줄 알아야 지인知人이다

# 위험하다고 느꼈을 때에 멈출 줄 알아야 지인知人이다 見險而能止, 知矣哉 견험이능지, 지의재 위험하다고 느꼈을 때에 멈출 줄 알아야 지인이다. - 주역周易 건괘蹇卦 - 위험을 감지했으면 나아가기를 보류하고 멈춘다. 그것이 지자知者이다. 여기서 말하 지자知者는 단순히 사물에 대한 지식이 있는 사람이 아니라 스스로 나아감과 멈춤을 판단할 수 있는 사람을 말한다. 불확실한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곧이곧대로 나가기만 하는 필부지용匹夫之勇이 아닌 공격과 수비를 갖춘 전천후형이 요구된다.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멈출 줄 아는 '유연성'이 필요하다. 📖필부지용匹夫之勇 하찮은 남자의 용기 라는 뜻으로, 소인小人이 깊은 생각 없이 혈기만 믿고 함부로 부리는 용기

인생 백년 가르침을 주는 황금률-지금의 평안이 지속되리라고 생각지 말라 처음 당한 곤경을 피하려 하지 마라

# 지금의 평안이 지속되리라고 생각지 말라 처음 당한 곤경을 피하려 하지 마라 毋恃久安 무시구안 毋憚初難 무탄초난 <채근담菜根譚>중에서 '구안(久安)'은 오래 지속되어 온 평안의 상태, '초난(初難)'은 처음으로 부닥친 곤란한 상태이다. '지금의 평안이 언제까지라도 계속될 것으로 생각하지 마라, 처음 곤경을 당하더라도 피하려고 애쓰지 말라'는 의미이다. 평안한 상태가 오래 계속되면 마침내 마음이 해이 해져서, 그 평안이 언제까지라도 계속될 것으로 생각하게 되고 불행이 찾아왔을 때, 그만 혼란해진다. 이렇게 되지 않기 위해서는 평소부터 저항력을 기르고 준비를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 또 무슨 일을 하든 곤경이란 있게 마련인데 처음 어려움에 마주했을 때 도망만 치려고 한다면 아무것도 결코 벗어날 수가 없다..